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출시



청년우대형 청약통장 기존 청약통장 비교 & 질의응답(Q&A)


본문


청년 우대형 처약통장 본문






1. 기존 청약통장 비교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비교

기존 주택청약종합저축 VS.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




2. 혜택 


1) 가입기간 2년 이상 시 총 납입원금 5천만원* 한도최대 10까지 기존 주택청약종합저축 대비 1.5%p우대금리적용최대 3.3%이자를 받을 수 있으며,

 

* (납입방식) 주택청약종합저축과 동일 1,500만원까지 자유롭게 납입 후,

 

연간 600만원(2만원50만원) 한도로 납입


- 가입기간2년 미만이라도 청약 당첨으로 불가피하게 해지하는 경우에는 우대금리 적용받을 수 있다.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금리비교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금리표 )


2)  가입기간이 2년 이상 시 이자소득 5백만 까지 비과세를 적용받는다.

 

* ,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의 이자소득 비과세는 조세특례제한법 개정사항으로 조세특례제한법이 개정되는 올 연말쯤 비과세 관련 내용 최종 확정 예정


3) 청약기능물론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가입자가 현() 조세특례제한법의 소득공제 요건을 충족하면 연간 납입한도240만 원 범위에서 40%소득공제 혜택도 받을 수 있다.



아울러, 이미 주택청약종합저축가입했다 하더라도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자격요건충족하면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으로 전환가능하다.




3. 질의응답(Q&A)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Q&A1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Q&A2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Q&A3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Q&A4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Q&A5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Q&A6


이상입니다.


감사합니다.



2018/07/31 - [생활] -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조건&은행&가입방법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조건&은행&가입방법



안녕하세요.


이번에 가저온 유용한 정보는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기존 주택청약종합저축에서 더좋게 업그레이드 되어 오늘 7월 31일 부터 신청이 가능합니다.


뭐가 달라졌는지 한번 살펴보고, 어떻게 가입할 수 있는 지 알아보고자 합니다!


청년 우대형 청약 통장의 조건&은행&가입방법


1. 가입조건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가입조건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가입조건]


2. 9개 주택도시기금 수탁은행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은행

[청년 우대형 청약 통장 은행]


3. 가입 방법


1) 주택도시기금 포털 방문 & 콜센터 문의


문희하실때는 아래의 서류를 확인하시고, 해당하시면 꼭 미리 준비하시기 바랍니다.

 

- 주택도시기금 포털(http://nhuf.molit.go.kr/)

 

- 국토교통부 콜센터(1599-0001)

 

- 주택도시보증공사(HUG) 콜센터(1566-9009)

 

2) 기금 취급은행 등 방문하여 상담 및 가입신청


-2번의 수탁은행을 확인하세요.




   

4. 주요 내용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주요내용


청년 우대형 청약 통장의 조건 & 은행 & 가입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다음 포스트에서 간단한 내용이 아닌 자세한 내용과 Q&A를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자세히 알아보고 싶으신분은 다음 포스팅을 눌러주세요!


감사합니다.


2018/07/31 - [생활] -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기존 청약통장 비교 & 혜택 & 질의응답(Q&A)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사회초년생들이 알아야할 문서작성법에 대해서 포스팅하겠습니다.


문서 작성을 하면서 단위를 나타낼 일이 많을텐데요. 


어찌보면 별것아니겠지만 이런것 하나하나를 신경쓰시는 분이 계세요.


군대 갔다오신분들은 알겠지만 세상은 넓고


여러 유형의 사람이 있습니다.


다음은 문서 작성을 하면서 유심히 봐야할,


또는 상식적으로 알아둘만한 것들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1. 단위를 나타내는 명사는 띄어 쓴다.







2. 양(量)의 기호를 영어로 쓸 때에는 이탤릭체(기울임체)로 쓴다.

예)  면적 : 10 A / 무게 : 10 T 




3. 수를 적을 때는 '만(萬)' 단위로 띄어 쓴다.



) 12,345(금일만이천삼백사십오원)


4. 기간 표기법


다음 중 올바른 기간 표기법은 무엇일까요?

 1) 2018.1.1 ~ 2019.1.1  

 2) 2018. 1. 1 ~ 2019. 1. 1.  

 3) 2018. 1. 1.~2019. 1. 1.

 4) 2018.01.01 ~ 2019.01.01  

 5) 2018. 01. 01 ~ 2019. 01. 01.  

 6) 2018. 01. 01.~2019. 01. 01.


정답 :  3번과 6번입니다. 
기간을 표기할 때 끝에 일 뒤에도. 을 표기하는 것 잊지 마세요.
이것은 신경 쓰지 않으면 자주 나오는실수입니다. 꼭 기억해주세요.


월과 일 앞에 '0'을 쓰지 않고 '2018. 1. 1. ~ 2019. 1. 1.'과 같이 쓸 수도 있지만, '0'을 써 '2018. 01. 01. ~ 2019. 01. 01.'과 같이 쓸 수도 있습니다※ 물결표 대신 부터까지도 사용이 가능하다.


5. 말줄임표

작가들이 문장을 말줄임표로 끝내는 것은 이야기가 계속될 수도 있음을 나타내기 위해서이고, 문장 중간이나 문장과 문장 사이에 말줄임표를 넣는 것은 글의 일부가 생략되었음을 알리기 위해서이다. 그에 반해서 비전문가들은 자기들이 사용하고자 하는 수사법이 지나치게 대담하다 싶을 때 말줄임표를 넣는다.
(나무위키)

다음 중 올바른 말줄임표는 무엇일까요 ?

1) 가운뎃점 여섯개 (……)

2) 가운뎃점 세개 (…)

3) 온점 여섯개 (......)

4) 온점 세개 (...)


정답 : 1번,2번,3번,4번 모두 정답.


줄임표는 가운데에 여섯 점을 찍는 것이 원칙이나 아래에 여섯 점을 찍는 것도 허용

 

, 줄임표는 가운데에 세 점을 찍거나 아래에 세 점을 찍어서 나타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온점 2개(..)온점 4개(....)로 나타내는 것은 최악이며, 절대 해서는 안되니 꼭 기억해주세요.



6. 항목의 구분 

문서의 내용을 2이상의 항목으로 구분할 필요가 있는 때에는 다음 구분에 의하여 표시합니다.
다만, 필요한 경우에는 부분적으로 ㅁ, , -, · 등과 같은 특수한 기호로 표시할 수 있습니다.


1. 첫째항목의 구분은 1., 2., 3., 4.······ 로 나누어 표시


2. 둘째항목의 구분은 가., ., ., .···· 로 나누어 표시


3. 셋째항목의 구분은 1), 2), 3), 4)······ 로 나누어 표시


4. 넷째항목의 구분은 가), ), ), ),····로 나누어 표시


5. 다섯째항목의 구분은 (1), (2), (3), (4)··· 로 나누어 표시


6. 여섯째항목의 구분은 (), (), (), ()· 로 나누어 표시


7. 일곱째항목의 구분은 ①, , , ④ ·····로 나누어 표시


8. 여덟째항목의 구분은 ㉮, , , ㉱ ·····로 나누어 표시



7. 맞춤법 검사기 사용




이런저런 거 신경 쓰기 귀찮다. 하시는 분들은 맞춤법 검사기로 검사하시길 추천합니다!

여러 곳에서 맞춤법 검사기를 제공하지만 네이버 맞춤법 검사기를 주로 사용합니다.

네이버에 '맞춤법 검사기'를 검색하시면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상으로 

사회 초년생이 알아야 할 문서 작성 TIP! 

편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