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안 게임 롤 일정 과 중계에 관한 것과 대표팀에 대해서 정리하여 올려봤습니다.


일정과 대표팀에 대해서는 표를 참고하여 주시고, 자세한 소개는 글참고 부탁드립니다.



2018년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게임에


시범종목 채택된 e스포츠의 리그오브레전드(LOL) 경기가 27일부터 펼쳐집니다


e스포츠는 이번 아시안게임에서 시범종목으로 채택됐습니다.


‘시범종목’이기 때문에 메달 집계에서는 제외되고 선수들이 받는 혜택또한 마찬가지입니다.


즉 금메달을 따더라도 병역이나 연금 혜택은 받을 수 없습니다.


E스포츠는 2022 항저우 아시안게임부터 정식종목으로 채택될 예정입니다.


대표팀 명단 / 게임 캐스터, 해설가, 감독 코치는 다음과 같습니다.


아시안 게임 롤 중계 및 대표팀


< 캐스터 및 해설진 >


아시안 게임 롤 해설진



출처 : KBS 


아시안 게임 롤 일정으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아시안 게임 롤 일정



오후 2시 30분 펼쳐지는 중국전과 29일 결승전은 지상파 방송을 통해 생중계될 예정입니다.


마이케이 어플을 통하여 게임중계를 무료로 시청하실 수 있으니 스토어 앱을 참조하세요!


CGV 영화할인 / 롯데시네마 영화할인 / 메가박스 영화할인


을 누릴 수 있는 문화의 날을 이용하시면 누구든지!



전국 주요 영화관에서 


단돈 5천원에 영화를 볼 수 있는 사실 모두 아시나요 ?


이것만 기억하세요.


매.마.수


(매월 마지막 주 수요일 )



누구든지!


영화를 5천원에 누리실 수 있습니다.






이러한 문화의 날은 


2014년 1월부터 시행했습니다.


이러한 정보를 미리안 사람이라면 


매주 마지막주 수요일(매.마.수)


문화의 날을 이용하여 영화를 5천원에 보실 수 있습니다!


문화의 날의 정보를 더 알고 싶으시다면


다음 글을 참고해주세요.



2018/08/18 - [생활] - 매월 마지막주 수요일 문화의날 혜택 정리!





문화의날



안녕하세요.


이슈를 모으다의 이모 인사드립니다.


문화의 날을 아시나요? 2014년에 처음 시행하여 지금까지 이어진 날입니다.


아시는 분들은 혜택을 아시고 이용하고 계시겠지만 모르시는 분들을 위해 준비해봤습니다.


 문화의 날


시작하겠습니다.


매월 마지막주 수요일!


이 날은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지정한 문화의 날입니다. 



문화체육 관광부란? 


 국민 누구나 문화를 찾고, 알고, 즐길 수 있도록 문화,예술,체육,관광,콘텐츠,종교,미디어,홍보 등 여러 분야에 걸쳐 다양한 시책을 펼처나가는 부서입니다.




이 글을 읽어 보시고 문화의날을 잘챙기셔서 문화도 챙기면서 돈절약 까지하는 정보 알아가시기 바랍니다!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1) 문화의 날이란?

문화가 있는 날은 국민이 일상에서 문화를 쉽게 접할 수 있도록 매달 마지막 수요일에 다양한 문화혜택을 제공하는 정책으로 문화체육관광부가 2014년 1월부터 시행하고 있습니다.



2) 문화의 날 혜택


문화의 날은 여러가지 혜택이 있는 날입니다.


알기쉽게 이미지로 정리되어 있는 것이 많고,

또 동영상으로도 정리되어 있으니 보시면서 좋은정보 얻어가시기 바랍니다.


문화의날 혜택



영화,공연,전시,도서관,문화재,스포츠 등 여러 문화에 대해서 국민들이 즐길 수 있도록 혜택을 적용하는 날입니다.


다음은 모션 그래픽으로 동영상으로 준비하였습니다.




3) 문화의 관련 정보


문화의날 공식 홈페이지 : http://www.culture.go.kr/wday/index.do


공식 페이스 북  :https://www.facebook.com/wdayw


공식 블로그 : http://blog.naver.com/pccekorea


공식 홈페이지에서는 문화의날을 시행하고 있는 위치 및 정보를 알 수 있고,


페이스 북과 블로그를 통해 문화의날의 대한 여러 정보를 알 수 있으니 


더 궁금하신 분들은 참고 바랍니다.





이상 이슈를 모으다의 이모였습니다.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출시



청년우대형 청약통장 기존 청약통장 비교 & 질의응답(Q&A)


본문


청년 우대형 처약통장 본문






1. 기존 청약통장 비교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비교

기존 주택청약종합저축 VS.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




2. 혜택 


1) 가입기간 2년 이상 시 총 납입원금 5천만원* 한도최대 10까지 기존 주택청약종합저축 대비 1.5%p우대금리적용최대 3.3%이자를 받을 수 있으며,

 

* (납입방식) 주택청약종합저축과 동일 1,500만원까지 자유롭게 납입 후,

 

연간 600만원(2만원50만원) 한도로 납입


- 가입기간2년 미만이라도 청약 당첨으로 불가피하게 해지하는 경우에는 우대금리 적용받을 수 있다.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금리비교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금리표 )


2)  가입기간이 2년 이상 시 이자소득 5백만 까지 비과세를 적용받는다.

 

* ,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의 이자소득 비과세는 조세특례제한법 개정사항으로 조세특례제한법이 개정되는 올 연말쯤 비과세 관련 내용 최종 확정 예정


3) 청약기능물론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가입자가 현() 조세특례제한법의 소득공제 요건을 충족하면 연간 납입한도240만 원 범위에서 40%소득공제 혜택도 받을 수 있다.



아울러, 이미 주택청약종합저축가입했다 하더라도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자격요건충족하면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으로 전환가능하다.




3. 질의응답(Q&A)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Q&A1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Q&A2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Q&A3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Q&A4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Q&A5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Q&A6


이상입니다.


감사합니다.



2018/07/31 - [생활] -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조건&은행&가입방법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조건&은행&가입방법



안녕하세요.


이번에 가저온 유용한 정보는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기존 주택청약종합저축에서 더좋게 업그레이드 되어 오늘 7월 31일 부터 신청이 가능합니다.


뭐가 달라졌는지 한번 살펴보고, 어떻게 가입할 수 있는 지 알아보고자 합니다!


청년 우대형 청약 통장의 조건&은행&가입방법


1. 가입조건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가입조건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가입조건]


2. 9개 주택도시기금 수탁은행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은행

[청년 우대형 청약 통장 은행]


3. 가입 방법


1) 주택도시기금 포털 방문 & 콜센터 문의


문희하실때는 아래의 서류를 확인하시고, 해당하시면 꼭 미리 준비하시기 바랍니다.

 

- 주택도시기금 포털(http://nhuf.molit.go.kr/)

 

- 국토교통부 콜센터(1599-0001)

 

- 주택도시보증공사(HUG) 콜센터(1566-9009)

 

2) 기금 취급은행 등 방문하여 상담 및 가입신청


-2번의 수탁은행을 확인하세요.




   

4. 주요 내용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주요내용


청년 우대형 청약 통장의 조건 & 은행 & 가입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다음 포스트에서 간단한 내용이 아닌 자세한 내용과 Q&A를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자세히 알아보고 싶으신분은 다음 포스팅을 눌러주세요!


감사합니다.


2018/07/31 - [생활] -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기존 청약통장 비교 & 혜택 & 질의응답(Q&A)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사회초년생들이 알아야할 문서작성법에 대해서 포스팅하겠습니다.


문서 작성을 하면서 단위를 나타낼 일이 많을텐데요. 


어찌보면 별것아니겠지만 이런것 하나하나를 신경쓰시는 분이 계세요.


군대 갔다오신분들은 알겠지만 세상은 넓고


여러 유형의 사람이 있습니다.


다음은 문서 작성을 하면서 유심히 봐야할,


또는 상식적으로 알아둘만한 것들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1. 단위를 나타내는 명사는 띄어 쓴다.







2. 양(量)의 기호를 영어로 쓸 때에는 이탤릭체(기울임체)로 쓴다.

예)  면적 : 10 A / 무게 : 10 T 




3. 수를 적을 때는 '만(萬)' 단위로 띄어 쓴다.



) 12,345(금일만이천삼백사십오원)


4. 기간 표기법


다음 중 올바른 기간 표기법은 무엇일까요?

 1) 2018.1.1 ~ 2019.1.1  

 2) 2018. 1. 1 ~ 2019. 1. 1.  

 3) 2018. 1. 1.~2019. 1. 1.

 4) 2018.01.01 ~ 2019.01.01  

 5) 2018. 01. 01 ~ 2019. 01. 01.  

 6) 2018. 01. 01.~2019. 01. 01.


정답 :  3번과 6번입니다. 
기간을 표기할 때 끝에 일 뒤에도. 을 표기하는 것 잊지 마세요.
이것은 신경 쓰지 않으면 자주 나오는실수입니다. 꼭 기억해주세요.


월과 일 앞에 '0'을 쓰지 않고 '2018. 1. 1. ~ 2019. 1. 1.'과 같이 쓸 수도 있지만, '0'을 써 '2018. 01. 01. ~ 2019. 01. 01.'과 같이 쓸 수도 있습니다※ 물결표 대신 부터까지도 사용이 가능하다.


5. 말줄임표

작가들이 문장을 말줄임표로 끝내는 것은 이야기가 계속될 수도 있음을 나타내기 위해서이고, 문장 중간이나 문장과 문장 사이에 말줄임표를 넣는 것은 글의 일부가 생략되었음을 알리기 위해서이다. 그에 반해서 비전문가들은 자기들이 사용하고자 하는 수사법이 지나치게 대담하다 싶을 때 말줄임표를 넣는다.
(나무위키)

다음 중 올바른 말줄임표는 무엇일까요 ?

1) 가운뎃점 여섯개 (……)

2) 가운뎃점 세개 (…)

3) 온점 여섯개 (......)

4) 온점 세개 (...)


정답 : 1번,2번,3번,4번 모두 정답.


줄임표는 가운데에 여섯 점을 찍는 것이 원칙이나 아래에 여섯 점을 찍는 것도 허용

 

, 줄임표는 가운데에 세 점을 찍거나 아래에 세 점을 찍어서 나타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온점 2개(..)온점 4개(....)로 나타내는 것은 최악이며, 절대 해서는 안되니 꼭 기억해주세요.



6. 항목의 구분 

문서의 내용을 2이상의 항목으로 구분할 필요가 있는 때에는 다음 구분에 의하여 표시합니다.
다만, 필요한 경우에는 부분적으로 ㅁ, , -, · 등과 같은 특수한 기호로 표시할 수 있습니다.


1. 첫째항목의 구분은 1., 2., 3., 4.······ 로 나누어 표시


2. 둘째항목의 구분은 가., ., ., .···· 로 나누어 표시


3. 셋째항목의 구분은 1), 2), 3), 4)······ 로 나누어 표시


4. 넷째항목의 구분은 가), ), ), ),····로 나누어 표시


5. 다섯째항목의 구분은 (1), (2), (3), (4)··· 로 나누어 표시


6. 여섯째항목의 구분은 (), (), (), ()· 로 나누어 표시


7. 일곱째항목의 구분은 ①, , , ④ ·····로 나누어 표시


8. 여덟째항목의 구분은 ㉮, , , ㉱ ·····로 나누어 표시



7. 맞춤법 검사기 사용




이런저런 거 신경 쓰기 귀찮다. 하시는 분들은 맞춤법 검사기로 검사하시길 추천합니다!

여러 곳에서 맞춤법 검사기를 제공하지만 네이버 맞춤법 검사기를 주로 사용합니다.

네이버에 '맞춤법 검사기'를 검색하시면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상으로 

사회 초년생이 알아야 할 문서 작성 TIP! 

편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18년에 중소기업 취업자 소득세 감면이 바뀌었다는 것 알고 계시나요 ?


모르고 계셨다면, 아니면 들어만 보셨다면 이 글을 꼭 읽어보시고 혜택을 받길 바랍니다!


먼저, 가장 중요한 두 가지 MEMO!


1. 소득세 감면 기간이 3년에서 5년으로 늘었습니다.


2. 취업 청년 대상이 만 29세에서 만 34세로 늘었습니다.

 


이 말은 이전에 3년의 혜택을 받았던 사람도 취업 청년의 나이에 해당한다면 나머지 2년도 받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새롭게 취업한 사람뿐 아니라 그전에 취업한 사람도 이 제도에 대해서 알아보고 


대상자라면 꼭 재신청 해주셔야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럼 이제 2018년 중소기업 취업자 소득세 감면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1. 중소기업 취업자 소득세 감면제도란?

2. 제도 변천사 및 지원 대상

3. 필수 서류 및 신청서 (계산기)



1. 중소기업 취업자 소득세 감면제도


(1) 도입 취지

청년층의 중소기업 취업을 유도하고 중소기업의 인력난 및 청년 취업난 해소를 위해 2012년 신설
(조세특례제한법 제 30조 및 시행령 제 27조)

(2) 제도 소개

연말정산 소득공제 시 근로계약일 기준으로, 대상 년도에 해당하는 취업 또는 재취업한 청년은 병역 기간을 포함하여 취업일로부터 최대 5년 동안 근로 소득세의 90%의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즉, 중소기업에 취업자 대상 중 만 34세 이하의 사람에 한해서 세금을 환급 받을 수 있습니다. 


(3) 주의사항

2018년 이전의 취업하여 70%의 혜택을 받고 있는 사람과, 이전에 신청하여 3년의 혜택을 받은 사람
최대 5년까지 남은 기간의 혜택을 재신청 하여 받을 수 있습니다.

(즉, 2014년에 취업하여 2017년도에 혜택을 다받은 사람도 재신청하여 나머지 2년을 더 받을 수 있습니다.)
대상은 만 34세 이하의 사람입니다. 밑에 첨부한 계산기를 통하여 자신이 대상자인지 확인해보세요.





2. 제도 변천사 및 지원대상




청년 취업자 기준으로 한 눈에 들어오도록 표로 정리하여 보았습니다.


(출처 : 2018년 원천세 신고안내에서 발췌)






3. 필수 서류 및 신청서 (계산기)


(1) 필수 서류



(2) 신청서

중소기업_취업자_소득세_감면신청서.hwp

http://www.nts.go.kr/info/info_02.asp?minfoKey=MINF8320080211205907#none

편의를 위하여 신청서를 다운로드할수 있도록 올려놓으며, 홈페이지를 통하여 받으실 분은 URL을 클릭하여

서식 이름에 소득세 감면을 치시고 검색하시면 해당 신청서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신청서 5번의 중소기업에 취업한 날 연령과 7번의 병역 근무기간 차감 후 연령은 직접 계산을 하거나 다음 계산기를 통하여 적습니다.

(현재 신청서는 2018 연도 것이 아닌 2017년도의 것이고, 아직 2018년도의 신청서는 나오지 않았습니다)



(3) 계산기




위와 같이 주민번호와 입사일을 통하여 취업시 연령을 계산할 수 있고, 군 복무를 하신분들이라면 복무기간뺀 나머지 기간인 적용 연령으로 최종적으로 대상여부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대상자 확인.xlsx


대상자이시라면 꼭 신청해주어야 겠죠 ?



2018년 말까지 신청을 해주시면 적용이 가능합니다. 


공식 홈페이지에서 다운받은 제도안내입니다.
자세한 제도에 대해 궁금하신분은 다음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이상으로


이모

2018년 중소기업 취업자 소득세 감면의 모든것!
편을 마치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의 공감 버튼 부탁드립니다.









SQL 개발자 자격시험(총 50문항 - 필기 50문항)



안녕하세요. 


이슈를 모으다. 


이모 인사드립니다.


( 이 글은 제 경험을 바탕으로 쓴 글이므로 준비하실때 참고하시길 바라며 작성하였습니다. )


SQLD 합격증

( SQLD 합격증 )




이번에 다룰 주제는 SQLD 자격증에 대해서 다뤄보겠습니다.


컴퓨터를 직업으로 하시는 분이라면 데이터 베이스를 많이 사용하실 텐데요.


그렇다면 SQL을 공부하서야 합니다.


여러 언어 C#,JAVA,C++ 등등 에서 SQL문은 여러 형태로 쓰입니다.


SQLD 자격증 시험 준비 시작하겠습니다.


저는 작년에 27회 검정시험을 봐서 3주간 준비하여 이 자격증을 취득하였습니다.


제목에 있다싶이 3주간 제가 준비한 방법을 여러분들께 소개하고자 합니다!



다들 준비 열심히 하셔서 자격증 취득하시길 바랍니다.



1. 자격증에 대하여.


(가) SQL 개발자 자격시험(총 50문항 - 필기 50문항)

SQLD 과목



다음과 같이 50문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한번의 자격증 시험을 통과하면 취득할 수 있는 자격증입니다.

3주간의 시간을 투자하여 자기계발도 이루면서 자격증을 추가할 수 있는 Chance!!

( 응시료는 50,000 원입니다.)

(나) 자격증 세부 내용

SQLD 과목별 세부 항목



- 다음과 같이 두 개의 과목으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이 중 1과목은 전부 객관식이며, 2과목은 객관식 + 주관식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제가 본 27회 SQLD 자격증에는 

1 - 10   : 1과목 객관식 문제
11 - 42 : 2과목 객관식 문제
43 - 50 : 2과목 주관식 문제   

이렇게 구성되어 있는 시험이었습니다. 

이제 어느정도 시험에 대해서 감이 잡히시나요 ? 


2. 자격증 준비.


교재 : 

SQL 전문가 가이드 SQL 가이드


 교재로는 SQL 전문가 가이드를 빌려서 준비하였습니다.  


다행이 저희 학교 도서관에 구비되어 있어서 간편히 빌릴 수 있었습니다.  
(책값이 비싸므로 빌려서 보시길 추천드립니다.)

만약 주변 도서관에서도 없다 싶으면, 책이 없어도 준비할 수 있습니다.


위 사이트를 접속하시면 책의 내용을 올려놓았기 때문에 누구나 쉽게 준비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교재만으로 SQLD 과목을 충분히 준비할 수 도 있겠지만, 

사이트에 제공하는 정보뿐 아니라 카페를 통하여 여러 정보를 얻어서 준비하였습니다.

먼저, 출제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http://www.dbguide.net/da.db?cmd=snb13_list&boardGroupUid=6&boardConfigUid=81

여기에 접속하여 퀴즈를 통해 지식을 점검할 수 있습니다.

카페를 통하여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 SQLD 뿐 아니라 SQLP/DAP/ADP의 정보도 얻을 수 있습니다. )

SQL 시험 교재

이 책을 참고하셔도 2과목을 준비하시기 좋습니다.


특히 주관식 문제를 준비하실때 유용합니다.




자, 정리 한다면

준비 방법

1. SQLD 교재로 이론적인 부분과 객관식 문제를 준비합니다. ( 1 ~ 1주 반정도 소요)

2. 출제 사이트 및 네이버 카페를 통한 반복 학습 ( 시험 전까지 무한반복 ) 

3. 쿼리문은 직접 실행하며 기억에 남길 것.

이렇게만 하셔도 충분히 합격할 수 있는 난이도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문제를 풀면서 헷갈리는 부분은 책이나 사이트를 참고하셔서 할수 밖에 없습니다.

한 두번 읽고는 방대한 양을 넣을 수 없으니까요.

하지만 몇번 풀다보면은 어떤문제가 나올지는 감이 잡힙니다.

직접 실행하는 것! 이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비슷한것을 비교할때 직접 하는것만큼 기억에 남는것은 없습니다.

많이 풀수록 사람은 익숙해 지니까요.

시험 팁

- 따로 출력 없이 수험번호만 기억해도 충분. ( 사진 찍어 갈것을 추천 )

- 시간 준수는 필수. 

- 시험이 시작된다면 주관식 부터 풀 것.

빠르게 문제를 보면서 기억에 남는 것부터 채워주고, 문제를 풀다가 보기를 보면서 기억에 남는 문제가 있다면 바로바로 채워주는 것이 베스트였습니다. 

중간중간 시간을 체크하면서 분배하는것도 중요하겠죠?


시험 예제


1) 개념적 모델링 /  논리적 모델링 / 물리적 모델링 중 재사용성을 특징으로 하는 모델링을 고르시오.

다음과 같이 비슷하면서도 개념을 확실하게 알아야 하는 문제도 나왔습니다.

2) 결과값을 보여준 후 ,  RANK/DENSE_RANK/ROW_NUMBER 가 보기로 나와서 고르는 문제도 출제되었습니다.

3) CUBE / ROLLUP / GROUPING SETS 를 비교하여 결과가 어떻게 나오는지에 대해서도 출제되었습니다.

이런 패턴으로는 비슷한 결과가 나오는 여러개가 나오고, 그것을 비교하는 것이 나온다면 더 유의하여 기억해야 합니다.

4)

WHERE NO='A' AND NO='B' OR NO='C' OR NO = 'D'

WHERE NO='A' AND (NO='B' OR NO='C' OR NO = 'D')

두 쿼리문의 결과값 차이를 묻는 문제도 출제되었습니다.


저는 공부할때 MS - SQL Express(무료) 를 설치하여 직접 쿼리문을 실행하면서 값을 비교하였습니다.

또 다른 예제로는 다음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 재사용성이 제일높은 모델링 
2. 엔터티 도출 순서
3. 정규화
4. 엔터티 특징
5. 이상현상
6.식별자
7.주식별자
8.정규화
9.반정규화 칼럼추가
10.분산데이터베이스 장단점

(출처 : http://cafe.naver.com/sqlpd)


주관식 문제 중 기억에 남는 것은 

1) 유저를 생성하고 테이블 권한을 주는 언어는 무엇인가? 답: DCL

2) 그리고 권한을 주는 명령어는 무엇인가? 답: GRANT

3) MS - SQL 에서의 DIFFERENCE 를 EXCEPT 명령어를 쓰는데, ORACLE에서는 어떤 명령어 인가? 답: MINUS

4) 연관된 테이블을 같이 삭제하는 쿼리를 완성하시오.  DROP TABLE NAME (        );        답: CASCADE


기억에 남는 것은 이정도이고, 그렇게 높은 난이도는 출제되지 않아서
 
꾸준히 준비만 한다면 누구나 합격할 수 있습니다!


기출 문제


SQLD(예상&amp;기출).zip

(출처 : https://cafe.naver.com/sqlpd      작성자:월야루)




#SQLD준비 #SQLD 후기 #SQLD 기출문제 #SQLD #SQLD 예제 #SQLD 기출 #SQLD 시험 #SQLD 난이도 #SQLP


유익한 글이 되셨다면 공감 부탁드립니다.

( 로그인 없이 가능합니다 )

↓↓↓↓↓↓↓↓↓↓↓↓↓↓↓↓↓↓↓↓↓






+ Recent posts